Git & Github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브랜치 관리하기 보통 feat/기능이름 으로 한 사람이 개발하는 기능 브랜치를 만듭니다. (혹은, fix/버그이름 hotfix/급한버그) 작업이 끝나면 dev(혹은 master) 브랜치로 PR(Pull Request)을 보냅니다. dev 브랜치에서 큼지막한 작업이 모두 머지되면 release(혹은 latest) 브랜치로 머지시키고 이를 실서버에 배포합니다. 직접 커밋은 feat(혹은 fix, hotfix) 브랜치에만 합니다. dev나 master, release 브랜치에는 직접 커밋하지 말고 머지만 합니다. 참고 패스트캠퍼스 : 처음 배우는 Git & Github 강좌 [Git] 합치다가 충돌이 났어요: 컨플릭트(conflict) 01. 왜 충돌이 일어나나요? 다른 브랜치에서 같은 곳을 수정한 후 머지하려할 때 충돌. 즉, 컨플릭트(conflict)가 일어납니다. 02. 컨플릭트 해결 방법 아래는 같은 각 브랜치에서 같은 곳을 수정하고 머지하려는 상황입니다. 두 브랜치를 머지하면 컨플릭트가 발생되면서 커밋하지 않는 변경사항이 생성됩니다. 해당 파일을 IDE을 통해 직접 수정 후 커밋 푸시를 합니다. 참고 패스트캠퍼스 : 처음 배우는 Git & Github 강좌 [Git] 두 버전 합치기: 머지(merge) 01. 머지(merge)란? 브랜치로 작업환경을 나눠 각각 작성한 소스를 병합하려 할 때 merg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02. 머지 사용 방법 feat/main-page 브랜치(compare)에서 작성한 코드를 master 브랜치(base)로 병합하려 한다고 가정해봅니다. 02-01. base가 될 브랜치로 전환 먼저 base가 될 master 브랜치로 checkout을 합니다. 그러면 HEAD는 master로 전환됩니다. $ git checkout master ※ 해당 브랜치를 더블 클릭해도 checkout이 됩니다. 02-02. merge compare 브랜치인 feat/main-page 브랜치를 현재 HEAD인 master와 병합하고 싶다고 명령합니다. $ git merge feat/main-pa.. [Git] 평행세계 나누기: 브랜치(branch) 01. 브랜치란?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에 개발자들은 동일한 소스코드를 함께 공유하고 다루게 됩니다. 동일한 소스코드 위에서 A개발자는 버그를 수정하기도 하고 B개발자는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이렇게 여러 사람이 동일한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작업을 할 때에는 서로 다른 버전의 코드가 만들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럴 때 브랜치(branch)를 통해 각자 독립적인 작업 영역(저장소) 안에서 마음대로 소스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분리된 작업 영역에서 변경된 내용은 나중에 이전 버전과 비교해서 하나의 새로운 버전으로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02. master는 기본 브랜치 $ git push origin master push 명령어는 master 브랜치(기본으로 만들어짐)에 커밋을.. [Git] 소스트리(SourceTree)로 add, commit, push, clone, pull 하기 01. add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에는 add 가능한 파일 목록을 보여줍니다. add를 원하는 파일 옆 + 를 눌러 스테이지로 올려줍니다. 모든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리고 싶은 경우 '모두 스테이지에 올리기' 버튼을 누릅니다. 파일 목록을 클릭하면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2. commit 하단 input창에 본인의 GitHub 계정을 확인한 후, 커밋 메시지를 입력합니다. 커밋 버튼을 누르면 커밋이 완료됩니다. origin/master 원격 저장소에 올라간 상태 master 로컬 저장소에만 올라간 상태 03. push 상단의 Push 버튼을 누르면 push가 완료됩니다. 04. clone 상단의 +를 누른 후, Clone 버튼을 눌러줍니다. 클론하고자 하는 GitHub 주소를 입력한 후.. [Git] 소스트리(SourceTree) 설치 01. 소스트리(SourceTree) 설치 아래 링크에서 소스트리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ko.atlassian.com/software/sourcetree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 www.sourcetreeapp.com 비트버킷에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합니다. 02. 소스트리에 이미 존재하는 로컬 저장소 추가 참고 패스트캠퍼스 : 처음 배우는 Git & Github 강좌 [Git]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장소 받아오기 01. 클론(Clone) 클론(clone)을 하면 다른 사람의 원격 저장소의 코드를 내 컴퓨터에 받아올 수 있습니다. 로컬 저장소(.git 폴더) 또한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클론이 가능합니다. $ git clone https://github.com/아이디/이름.git 02. 풀(pull) clone한 뒤에 다른 사람이 커밋을 푸시하게되면 원격 저장소의 버전과 나의 로컬 저장소의 버전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 업데이트된 데이터는 풀(pull) 명령어를 통해 받아올 수 있습니다. $ git pull origin master ※ B가 push 권한이 있을 경우 B 또한 A의 원격 저장소에 push를 할 수 있습니다. 03. collaborator 추가 원격 저장소(GitHub)에서 colla.. [Git] 만든 버전 GitHub에 올리기 더보기 GitHub에 코드를 올리는 과정 1.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여기에서 Git을 쓸거다!'라고 명령 2. 코딩 3. 내가 변경한 파일 중 올리길 원하는 것만 선택 4.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고 설명 적어주기 5. GitHub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저장소 만들기 6.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7. 내 컴퓨터에 만들었던 덩어리 GitHub에 올리기 01.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개인 컴퓨터의 로컬 저장소에서 버전관리를 하고, 이를 원격 저장소에 올려 다른 사람들과 함께 버전 관리를 할 수 있게 합니다. 02. 원격 저장소(GitHub)에 버전 올리기 02-01. GitHub에 로그인해서 원격 저장소 생성 GitHub에 해당 프로젝트의 커밋을 관리할.. 이전 1 2 다음